반응형
지자체별 청년기본소득/청년수당 총정리 – 내가 사는 지역에서 받을 수 있는 혜택은? (2025년 기준)
2025년, 전국 각 지자체에서는 청년의 자립을 돕기 위한 청년기본소득, 청년수당을 꾸준히 확대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전국 단위 지원과는 달리, 지자체별로 지급 조건과 금액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 정책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서울, 경기, 부산, 광주 등 주요 지자체의 청년 수당과 기본소득 제도를 비교 정리해드립니다.
1.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경기도는 만 24세 청년에게 분기별 25만 원씩 연 100만 원의 기본소득을 지역화폐로 지급합니다.
- 대상: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3년 이상 연속 또는 10년 이상 거주한 만 24세 청년
- 지원 금액: 분기별 25만 원 (연 4회)
- 지급 방식: 경기지역화폐 (앱 또는 카드)
- 신청 방법: 경기청년포털 (youth.gg.go.kr)
2. 서울시 청년수당
서울시는 구직 중인 청년에게 최대 6개월간 월 50만 원씩 총 300만 원을 지원하는 수당 제도를 운영합니다.
- 대상: 만 19~34세 서울 거주 미취업 청년
- 조건: 고용보험 미가입자, 중위소득 150% 이하
- 지원 기간: 최대 6개월
- 신청 방법: 서울청년포털 (youth.seoul.go.kr)
3. 부산시 청년월드컵 수당
부산시는 청년 문화활동, 교육, 구직활동 장려를 위해 연 1회 부산형 청년활동지원금을 제공합니다.
- 지원 금액: 연 1회 100만 원 내외
- 대상: 만 18~34세 부산 거주 미취업 청년
- 용도: 문화, 교육, 교통 등 생활비 전반
4. 광주시 청년 드림수당
광주광역시는 취업 준비 청년에게 월 40만 원씩 6개월간 총 240만 원을 지원합니다.
- 신청 조건: 졸업 또는 중퇴 2년 이내 미취업 청년
- 소득 기준: 가구 중위소득 120% 이하
5. 제주 청년희망 지원금
제주도는 청년 자립기반 조성을 위해 청년희망 지원금을 지급합니다.
- 대상: 만 19~39세 제주 거주 청년
- 금액: 연 최대 120만 원 (분기별 30만 원)
- 조건: 자산, 소득 기준 있음
6. 지자체 수당 비교표 (요약)
지자체 | 지원명 | 금액 | 대상 |
---|---|---|---|
경기도 | 청년기본소득 | 연 100만 원 | 만 24세, 3년 이상 거주 |
서울시 | 청년수당 | 월 50만 원, 6개월 | 19~34세 미취업자 |
부산시 | 청년활동지원 | 연 100만 원 내외 | 18~34세 |
광주시 | 드림수당 | 월 40만 원, 6개월 | 졸업·중퇴 2년 이내 |
제주도 | 희망지원금 | 연 120만 원 | 19~39세 |
7. 자주 묻는 질문 (FAQ)
- Q. 중복 신청이 가능한가요?
→ 대부분 중복 수당은 제한되며, 동일 성격의 지원은 1개만 수령 가능 - Q. 지역 기준은 무엇인가요?
→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기준이며, 연속 거주 기간이 중요합니다. - Q. 아르바이트 중인 청년도 신청 가능한가요?
→ 일부 수당은 소득 상한 기준 내 근로자는 신청 가능합니다.
마무리
지자체별 청년수당과 기본소득 제도는 생활비를 줄이고, 자립 기반을 만드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다만, 지자체마다 대상과 조건, 신청 시기가 다르기 때문에 반드시 거주 지역 청년포털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청년 맞춤형 전·월세 대출 제도를 다룰 예정입니다. 자취 중인 청년이라면 반드시 챙겨야 할 정보이니, 계속해서 확인해 주세요.
반응형